검색자가 검색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최종 목적(검색 의도)에 따라 분류한 개념입니다.
리스닝마인드 내 필터 기능으로 인텐트별 키워드 및 관련 데이터(검색량, 유입수, 가입수 등)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에 나타나는 웹페이지 유형(예: 바이페이지, 정보형 페이지, 리스트 페이지 등)을 분석하여 일반적으로 설정한 분류법입니다.
분류 | 특징 | 예시 키워드 |
---|---|---|
정보형 (I) : 지식, 기능, 사용법 등 기초 정보 탐색 |
| 갤럭시S24 스펙, 아이폰14 카메라 성능 |
이동형 (N) : 특정 브랜드/사이트/지점 등으로 이동하기 위한 검색 |
| LG유플러스 갤럭시 구매 페이지, U+샵 |
상업형 (C) : 구매 전 비교, 추천, 평가 등을 통한 선택 고민 |
| 가성비 좋은 5G폰, 갤럭시S24 vs S23 비교 |
거래형 (T) : 구체적 제품명, 가격, 조건 등 실제 구매 의도 반영 |
| 갤럭시S24 LGU+ 가격, 아이폰14 요금제 신청 |
인텐트 유형 | 검색량 특성 | 구매 여정 위치 | 콘텐츠/광고 적합 포맷 | 주요 역할 |
---|---|---|---|---|
정보형 | 높음 | 초입 (Awareness) | 블로그, Q&A, 가이드, 설명 콘텐츠 | 전환 직전 단계 아님 / 유입 확대 및 브랜드 인지도 형성에 기여 |
이동형 | 중간~낮음 (브랜드 영향) | 구매 직전 혹은 후기 | 브랜드/서비스 사이트, 검색광고 | 구매 페이지 직접 진입 / 직접 유입 및 재방문 유도를 통해 전환 직전 단계와 강한 상관관계 |
상업형 | 중간~높음 | 중간 (Consideration) | 리뷰, 비교, 추천, 목록형 콘텐츠 | 구매 고려 중 소비자 판단을 돕고 유입을 전환으로 이끄는 중간 다리 역할 |
거래형 | 낮음 | 최종 (Conversion) | 구매페이지, 상세페이지, 가격 안내 | 명확한 구매 의사 표현 / 가입·구매와 직접 연결된 핵심 키워드 |
콘텐츠 전략 수립
검색 인텐트를 활용하면 잠재 고객의 검색 의도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인텐트를 이해하고, 이에 맞는 콘텐츠를 작성하면 콘텐츠의 상위 노출이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검색 사용자의 쿼리 관점에서, 쿼리에 깊게 연관된 정보를 웹페이지의 콘텐츠에서 제공하면 구글은 해당 콘텐츠 페이지를 신뢰하고 순위를 높여줍니다.
검색 인텐트로 키워드 퍼널 성과 추적에 활용하세요.
키워드 퍼널 성과 추적
전환 병목 구간 파악하여 및 개선 포인트 도출에 유용하게 활용해보세요.
상업형 키워드 유입 높으나 가입 낮을 경우 → 랜딩페이지 콘텐츠/혜택 부족 점검
거래형 키워드 유입 적을 경우 → 가격, 조건, 브랜드 경쟁력 또는 광고 세팅 문제 의심
정보형 키워드 높은 유입이 상업형/거래형 전환으로 이어지는지 분석 → 구매 여정 최적화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