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eningMind Help

데이터 l 검색 유저 특성

유저 특성 필터를 활용하여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성별/연령대별 주요 키워드를 확인해 보세요.

ListeningMind Help2025-06-17

유저특성은 키워드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높게 나타나는 검색 패턴을 포착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특정 토픽의 검색량, 특정 브랜드의 검색량, 특정 의도를 가진 그룹의 검색량을 연령 혹은 성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면 시장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지를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출처 :

    • 네이버 검색 키워드별 성별, 연령별 검색 비율 정보(전체 검색의 약 60% 차지)

    • 단순 비율만으로는 부족하여, 인구구성 분포 실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그마 1 이상 편차 등으로 별도 분석 수행

    • 네이버 검색유저 데이터를 통해 분석된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에서 유의미하게 보이는 성별/연령대별 유저특성 입니다.

  • 데이터 제공 : KR(한국) 키워드만 제공합니다.

  • 파인더에서 (국가 : 한국) 시드 키워드 입력 후 전체 혹은 필터 적용된 키워드 데이터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 데이터 제공 여부는 키워드별로 상이합니다. (예: 일부 키워드는 성별/연령별 데이터 미제공)

  • 패스파인더, 클러스터 파인더에서 성별, 연령별 필터를 교차 적용했을 때는 두 조건이 모두 충족하는 경우가 필터링 됩니다.

전체 연령층 통합 분석으로는 시장 변화의 핵심을 놓칠 수 있습니다. 특정 토픽의 검색량, 특정 브랜드의 검색량, 특정 의도를 가진 그룹의 검색량을 연령 혹은 성별로 세분화하하여 분석하면 시장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지를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모그래픽 세분화를 통한 검색량 분석에서는 특정 세그먼트에 관련된 전체 키워드를 파악한 상태에서 이들 키워드의 전체 검색량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만 각 키워드나 토픽들이 가지는 절대 검색량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데모그래픽 정보를 기준으로 검색 데이터 분석하기

  1. 시장 세분화타겟 세그멘트 확정: 특정 연령대나 특정 성별의 검색 패턴을 이해하여, 집중해야할 타겟 고객 그룹을 정하고 이에 맞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2. 제품 개발 및 서비스 개선: 다양한 사용자 그룹의 니즈와 관심사를 확인하여 이를 제품이나 서비스 개선에 반영하고자 할 때.

  3. 시장 트렌드 분석: 특정 연령대나 성별의 중장기적 트렌드 및 단기 트렌드를 분석하여, 검색 패턴에 기반한 시장 변화를 예측하고 전략을 수립할 때.

리스닝마인드는 한국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때 조사시점에서 과거 2년의 검색 볼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일본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과거 4년의 검색 볼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가공된 데이터를 통해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다양한 검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 조사 시점 기준 과거 2년(한국), 4년(일본) 검색 볼륨 데이터 확보 가능

  • 수집 정보

    • 성별: 남성, 여성 12개월 검색 데이터 및 누적 현황

    • 연령별: 0-12세, 13-19세, 20-24세, 25-29세,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그룹별 12개월 검색 데이터 및 누적 현황

성별 및 연령 데이터 가공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