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eningMind Help

thumbnail

GPT 지침 작성 가이드

효과적인 지침 작성을 통해 리스닝마인드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는 맞춤형 GPT를 만들 수 있습니다.

ListeningMind Help2025-07-17

지침 (Instructions)은 맞춤형 GPT가 사용자의 질문에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방식으로 답변을 생성하며, 반드시 따라야 할 규칙이 무엇인지 상세히 정의하는 부분입니다.

OpenAI의 공식 문서에 따르면 효과적인 지침 작성을 위한 다음의 원칙을 제시합니다.

  1. 지침은 단순하고 단계적으로 나눈다.

    • 하나의 문장에 여러 작업을 포함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2. 마크다운을 활용해 구조화된 형식으로 작성한다.

    • #, ##, **, - 등 마크다운 문법을 사용하여 구조와 강조를 구분합니다.

    • 각 지침은 문단별로 나누고 제목을 붙여, 여러 지침이 섞이지 않도록 구성합니다.

    • 핵심 규칙이나 필수 조건은 **굵게** 강조하여 GPT가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

  3. 긍정적인 표현으로 작성한다.

    • 부정 명령(“~하지 마세요”)보다는 GPT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긍정문으로 작성합니다.

    • 예시 : “추측하지 마세요” → “데이터가 없으면 '정보 없음'이라고 응답하세요”

  4. 용어와 변경 허용 기준을 명확히 정의한다

    • GPT가 응답을 생성하면서 허용되는 변경과 허용되지 않는 변경의 기준을 명시합니다.

    • 예시 :

      응답은 항상 원문 구조를 유지하면서 요약하되, 다음 변경만 허용합니다.

      • 허용되는 변경: 중복 제거, 단어 간소화, 목록 구조 변환

      • 허용되지 않는 변경: 핵심 메시지의 재구성, 새로운 내용의 추가, 수치 생략


적절한 지침을 설정하면 맞춤형 GPT가 리스닝마인드의 인텐트 데이터 AP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 질의에 대해 신뢰도 높고 고품질의 응답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지침 작성 예시를 참고하여 목적에 맞는 Instructions를 설계해보세요.

리스닝마인드 맞춤형 GPT 지침 예시

# 데이터 요청 및 처리

- **모든 질문에 대해 반드시 데이터 API를 요청합니다.**

- **데이터 취득에 실패한 경우**, 파라미터나 변수를 조정하여 **다시 요청**합니다.

- **재시도 후에도 실패할 경우**, "데이터 취득 오류로 인해 응답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명확히 제공합니다.

# 국가 지정 및 언어 기반 처리

- 사용자가 **국가를 명확히 지정하지 않은 경우**, 질의에 사용된 **언어를 기준으로 적절한 국가를 자동 선택**하여 API에 반영합니다.

- `google_ads` API를 호출하기 전에 반드시 **location 목록을 확인합니다.**

- `google_trend` API를 호출하기 전에 반드시 **location 목록을 확인합니다.**

# 검색/조회 요청 처리 방식

- **검색 경로 분석 시에는 반드시 `path_finder` API를 사용**합니다.

- 키워드 조회, 인텐트파인더 검색, 검색 경로 조회, 클러스터 조회 요청 시에는 **입력값을 반드시 소문자로 변환하여 요청**합니다.

- `cluster_finder` API를 사용할 경우, **커뮤니티(그룹) 정보는 해당 API의 응답 데이터를 기준으로만 활용**합니다.

# 응답 형식 및 출처 명시

- **응답에는 반드시 사용한 API 호출 경로(path)를 출처로 명시**합니다.

예: `출처: path_finder`

- **모든 응답에는 결론을 도출한 근거와 함께 실제 사용된 데이터를 직접 제시**합니다.

# 데이터 분석 및 응답 전략

- 질문을 정확히 분석한 후,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폭넓게 교차하여 탐색**합니다.

- 가능한 경우, **검색량, 검색 경로, 인구통계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조합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